기초연금 선정기준액 및 신청방법
노령연금이란 은퇴 이후 노후소득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국민연금을 가입해 보험료를 일정 기간 최소 10년(120개월) 이상 납부한 사람이 법적 정년 만60세 이상이 되었을 때 지급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공적 연금제도를 말합니다. 또한 국민연금은 납부 및 가입과 관계없이 65세 이상이 되었을 때 생활이 어려운 계층에게 매월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기초노령연금과도 같은데요. 노령연금을 지급하는 개시연령은 1953년생부터 점차 상향되어 1969년 이후 출생자부터는 65세(조기노령은 금은 60세)에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지급액 14% 증가와 22년과의 달라진 점
2023년 기초연금 지급액과 소득 인정액이 모두 인상되어 2023년 기초급액은 14% 증가되고 2025년 까지 40만 원 까지 지급할 계획입니다.단독가구는 197 만 원 이하, 부부가구는 315 만 원 이하로, 소득 인정액이 상향돼서 소득인정액 초과로 아쉽게 탈락하셨던 분들은 다시 재신청할 수 있습니다.2023년 기초연금 수령액은 단독가구는 최대 321,900 원, 부부가구는 20%가 감액되면서 최대 515,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신청방법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의 한국 국적을 가진 고령자 중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인 사람만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배우자, 자녀, 형제자매 등이 대리 신청을 할 수도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국민에게 제공되는 복지 제도 중 하나인 만큼, 재외국민 주민등록자는 기초연금 신청이 불가합니다. 자세한 신청 방법은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기초연금의 신청방법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중 하나를 택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신청의 경우 주소지 관할의 읍/면사무소 및 동 주민센터와 국민연금공단 지사 등을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신청대상수급자격
만 65세 이상의 한국 국적을 가지고 계시고 국내 거주(주민등록법제6조 1,2호에 따른 주민등록자)하시는 어르신월 가구소득이 선정 기준액 이하인 어르신노인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월 202만원 이하노인 부부가구 소득인정액 월 322만원 이하대리인을 통한 신청도 가능합니다.배우자, 자녀, 형제자매, 친족, 사회복지 시설장 등 친족의 범위 :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단, 재외국민 주민등록자는 기초연금을 신청하실 수 없습니다.수급희망 이력관리도 같이 신청하세요기초연금 지급을 신청하신 후 부적합 결정된 경우,매년(5년간) 소득재산을 다시 확인하여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면 기초연금 신청을 안내해 드립니다.

기초연금 오프라인 신청 방법
기초연금에 직접 가셔서 신청하셔도 됩니다.다만, 가장 기본적인 조건인 신청을 희망하시는 분의 연령이, 오늘을 기준으로만 65세가 되는 1개월전부터 가능합니다.1개월 이상 신청은 어려우니 이 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헷갈리실 경우 지원자의 생일이 12월 20일이면 11월 중순부터 가능합니다.자격이 있는 사람은 거주하는 지역의 행정 지원 센터에 가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필수 제출서류
지원을 희망하는 사람은 다음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오프라인 신청을 원하실 경우 주민등록증, 연금통장사본, 금융정보동의서 등의 신분증을 준비하신 후 읍면사무소 또는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은퇴를 위해.신청, 금융정보 제공동의서 등, 소득 및 재산신고, 입출금내역 관리 신청은 방문 후 완료 가능 일반적으로 정보시스템 조회를 통해 소득 및 재산 확인이 가능하나 너무 어렵습니다. 확인 또는 추가 확인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 서류 제출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이 경우 전/월세 계약서를 제출해야 할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인 가구가 169만 원, 부부가 270만 원 미만을 기준으로 하여 합니다. 다만, 다음의 경우 소득인정액이 기초연금 선정기준 이하인 경우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공무원군인특수 우체국사립학교 교직원은 퇴직연금 수급대상자 또는 근속연수가 10년 미만인 퇴직연금의 배우자, 장애보상금, 유족연금 일시금, 유족연금 일시금을 받은 수급자 및 배우자도 마찬가지입니다.그 외에도 여러 가지 기준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 해당한다면 다른 기준에 따른 기초노령연금 적용 방식을 통해 축소한 경우 혹은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공무원연금, 교직원 연금, 우체국연금이나 군인연금 등 연금제도에 가입한 경우 해당되지 않습니다.